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10 화이자타워 (02-317-2114)
신경병증 통증 인식 개선을 위한
Recognize - Express - Diagnose
손상된 말초신경은 염증반응을 일으켜 신경을 재생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염증반응이 우리 몸에 해가 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1
신경병증성 통증의 원인은 아래와 같이 다양합니다.1
신경병증성 통증의 증상은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나타나며,6, 7
이와 더불어 신경병증성 통증은 만성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 불안, 수면 장애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6
통증 부위, 증상 등에 대한 병력 청취, 설문지 작성 등의 문진을 통해 신경병증성 통증이 의심되면, 신경학적 신체검사 및 기타 검사실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1, 8
신경학적 신체검사, 영상검사 등의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해 통증을 유발할 만한 신경계의 손상을 찾으면 신경병증성 통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1
현재 겪고 있는 통증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8, 9
아래의 표에서 본인의 통증 단계를 선택해보세요!
출처: Hong JM. Pain, Agitation and Delirium, J Neurocrit Care 2015;8(2):39-45
※ 0에서 10까지의 통증 수치를 나타내는 NRS(Numeric Rating Scale)가 4점 이상인 경우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집니다.9
신경병증성 통증과 같은 만성 통증은 그 원인이 복합적이기 때문에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1, 10
따라서 환자 개개인의 동반 질환 및 일상생활 수행 능력, 인지 기능을 고려하여 원인에 따른 치료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10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방법은 약물 치료와 비약물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6
약제 투여 시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을 경우, 수면 환경 개선, 물리재활 치료, 중재적 치료 등의 비약물 치료 방법도 약물 치료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6
만성 통증 환자를 위한 신체활동 및 운동요법에는
유산소 운동, 근력 강화 운동, 운동 조절 치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12
신체활동 및 운동요법은 통증 강도, 신체기능 장애, 정신건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2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서 식습관, 운동의 생활습관 교정이
말초 신경병증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선을 나타냈습니다.13
또한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 신경병증에는 식습관,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14
신경병증성 통증을 가진 환자는 우울증이나 수면장애, 불안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6
이러한 증상이 해결되어야 만족할 만한 통증 조절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심리 치료의 병행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 6